맨위로가기

레오니다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니다스 1세는 고대 스파르타의 왕으로, 기원전 480년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정예 병사들을 이끌고 페르시아의 대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그는 아낙산드리다스 2세의 아들이자 클레오메네스 1세의 이복 형제였으며, 클레오메네스의 딸 고르고와 결혼하여 왕위를 계승했다.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레오니다스는 그리스 연합군을 이끌고 페르시아군에 맞서 2일간 방어전을 펼쳤으나, 배신자의 도움으로 페르시아군이 우회하여 공격해오자 끝까지 남아 싸우다 전사했다. 그의 용감한 죽음은 그리스에 영웅으로 추앙받게 했으며, 살라미스 해전의 승리에 기여했다. 레오니다스의 희생은 플라타이아 전투에서의 승리로 이어져 페르시아의 그리스 정복 야망을 좌절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80년 사망 - 자로
    자로는 기원전 542년경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자의 제자로, 공자를 호위하며 14년간 그의 가르침을 받았으나 위나라에서 괴외의 난에 휘말려 전사하고 젓갈로 담가지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강직하고 용감한 인물이다.
  • 테르모필레 전투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 테르모필레 전투 - 에피알테스
    에피알테스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당시 페르시아 군에게 테르모필레 협곡의 비밀 통로를 알려주어 그리스 군을 배신한 인물이다.
  • 아기아다이 왕조 - 클레옴브로토스 1세
    기원전 4세기 스파르타의 왕인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아게시폴리스 1세의 동생으로 왕위에 올라 테바이 원정을 이끌었지만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전사하며 스파르타의 그리스 패권 상실에 영향을 미쳤다.
  • 아기아다이 왕조 - 클레오메네스 3세
    클레오메네스 3세는 스파르타의 아기아드 왕조 왕으로, 스파르타 사회 구조 개혁과 군사력 강화를 시도했으나 클레오메네스 전쟁에서 패배 후 이집트로 망명, 반란 실패 후 자결했다.
레오니다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레오니다스 왕과 전해지는 중장보병의 대리석상
레오니다스 왕과 전해지는 중장보병의 대리석상 (기원전 5세기, 스파르타 시 고고학 박물관 소장)
출생기원전 540년경, 스파르타, 그리스
사망기원전 480년 8월 11일 (59–60세), 테르모필레, 그리스
통치 정보
작위스파르타의 왕
통치 기간기원전 489년–480년
전임자클레오메네스 1세
후임자플레이스타르코스
가족 관계
배우자고르고
자녀플레이스타르코스
아버지아낙산드리다스 2세
왕가아기아드
종교
종교그리스 다신교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Leonidas I

2. 생애

레오니다스 1세는 아낙산드리데스의 아들이자, 선왕 클레오메네스 1세의 이복 동생이다. 레오니다스는 셋째 아들이었기에 원래 왕위 계승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두 형인 클레오메네스 1세와 도리에우스가 잇따라 사망하면서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페르시아 전쟁을 앞두고 델포이에서 신탁을 구한 결과 "왕이 죽거나, 나라가 멸망할 것이다"라는 예언을 받았다. 이에 레오니다스는 결의를 다지고, 기원전 480년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스파르타의 중장 보병 300명을 포함한 그리스 연합군 7,000명을 이끌고 페르시아의 대군에 맞섰다. 테르모필레는 좁은 길목이었기에 소수의 군사로도 대군을 막을 수 있었다. 스파르타의 팔랑크스는 강력했고, 크세르크세스 1세는 좁은 지형 때문에 기병을 전개할 수도 없었으며, 자군보다 훨씬 적은 수의 그리스 연합군에게 고전을 면치 못했다.

정면 공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은 크세르크세스 1세는 배신자가 알려준 뒷길을 통해 우회 부대를 진군시켰다. 이를 알게 된 그리스 연합군은 철수를 결정했지만, 레오니다스가 이끄는 스파르타 군은 그 자리에 남아 끝까지 저항했다.

다음 날 아침, 우회 부대는 그리스 군의 배후에 도착했다. 크세르크세스는 스파르타 군에게 항복을 권고했지만, 레오니다스는 "Μολών λαβέ|모론 라베el" (와서 가져가라)라고 답하며 항복을 거부했다. 레오니다스는 스파르타 군, 테스피아이 군, 테베 군을 이끌고 좁은 길목이 아닌 테르모필레의 광장까지 진격하여 싸웠다. 공방전 중에 레오니다스가 쓰러지자, 그리스 군과 페르시아 군은 그의 시신을 두고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배후에서 우회 부대가 진군해오자 그리스 군은 다시 좁은 길목으로 후퇴하여 작은 언덕에 진지를 구축했다. 그들은 사방에서 쇄도하는 페르시아 군에 끝까지 저항하며, 창과 칼이 부러지면 맨손이나 이빨로 싸웠다. 페르시아 병사들은 스파르타 병사들을 두려워하여 육탄전을 거부하기 시작했고, 결국 원거리에서 날아오는 화살 세례에 스파르타 군은 테베 병사를 제외하고 전멸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 날 하루 동안 페르시아 군의 전사자 수는 2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전투 후, 크세르크세스는 부하에게 레오니다스의 시신에서 머리를 베어 매달도록 명령했다.

레오니다스는 기원전 481년에 그리스에 대한 2차 페르시아 원정에 저항하기로 결심한 연합 그리스 군대를 이끌도록 선택되었다.[9] 그가 죽은 지 불과 2년 만에 연합이 레오티키다스나 레오니다스의 후계자(아직 미성년자인 아들을 위한 섭정)인 파우사니아스의 지도력보다 아테네의 지도력을 선호했다는 사실은, 연합이 레오니다스를 군사 지도자로서 그의 능력 때문에 개인적으로 원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9]

그가 죽은 후, 왕위는 아들 플레이스토아낙스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레오니다스의 어머니는 아버지의 아내이자 조카였으며,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다. 이 때문에 스파르타의 다섯 행정관들은 아낙산드리다스 2세 왕에게 그녀를 버리고 다른 아내를 맞이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아낙산드리다스는 아내가 잘못이 없다며 거절했고, 이에 에포르들은 그에게 첫 번째 아내를 버리지 않고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하도록 허락했다. 이 두 번째 아내는 스파르타의 킬론의 후손이었고, 곧 아들 클레오메네스를 낳았다. 그러나 클레오메네스가 태어난 지 1년 후, 아낙산드리다스의 첫 번째 아내도 아들 도리에우스를 낳았다. 레오니다스는 아낙산드리다스의 첫 번째 아내의 둘째 아들이자 클레옴브로투스의 형제 또는 쌍둥이였다.[1] 레오니다스의 이름은 "레온의 후손"을 의미하며, 그는 그의 할아버지 스파르타의 레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도리스 그리스어 접미사 -ίδας는 "~의 후손"을 의미한다.[2]

스파르타인들이 페르시아 사절을 우물에 던져넣는 모습.


기원전 524년경 아낙산드리다스 2세 왕이 사망했고,[3] 클레오메네스는 그 후 516년경 사이에 왕위에 올랐다.[4] 도리에우스는 스파르타인들이 자신보다 이복형제를 더 선호했다는 사실에 너무 분개하여 스파르타에 남아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이후 시칠리아에서 자신의 운명을 찾았는데, 처음에는 성공했지만 결국 죽임을 당했다.[5] 레오니다스와 그의 격렬하게 대립하는 형제들과의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기원전 490년 왕위에 오르기 전에 클레오메네스의 딸 고르고와 결혼했다.[6]

레오니다스는 아기아드 왕조의 왕위 계승자였으며, 세페이아 전투 (기원전 494년경) 당시 완전한 시민(''호모이오이'')이었다.[7] 그는 페르시아인들이 스파르타에게 항복을 요구했을 때 격렬한 거부를 보였을 때도 완전한 시민이었다. 그의 이복 형이자 왕인 클레오메네스는 정신 이상을 이유로 이미 폐위되었고, 그리스에 대한 1차 페르시아 원정이 마라톤 전투에서 끝났을 때 (기원전 490년) 망명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어떤 사람이 그에게 '왕인 것을 제외하면 당신은 우리보다 전혀 우월하지 않다'라고 말하자, 레오니다스는 '그러나 내가 당신보다 낫지 않다면, 나는 왕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8]라고 기록했다. 레오니다스는 ''아고게''를 통해, 경쟁적인 스파르타 훈련과 사회 환경에서 자신을 증명했기에 통치 자격을 갖추었다고 시사했을 것이다.

2. 2. 왕위 계승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레오니다스의 어머니는 아버지의 아내이자 조카였으며, 오랫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다. 스파르타의 에포르는 아낙산드리다스 2세 왕에게 그녀를 버리고 다른 아내를 맞이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아낙산드리다스는 아내가 잘못이 없다며 거절했고, 에포르들은 그에게 첫 번째 아내를 버리지 않고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하도록 허락했다. 이 두 번째 아내는 스파르타의 킬론의 후손이었고, 곧 아들 클레오메네스 1세를 낳았다. 그러나 클레오메네스가 태어난 지 1년 후, 아낙산드리다스의 첫 번째 아내도 아들 도리에우스를 낳았다. 레오니다스는 아낙산드리다스의 첫 번째 아내의 둘째 아들이자 클레옴브로투스의 형제 또는 쌍둥이였다.[1]

아낙산드리다스 2세 왕이 기원전 524년경에 사망했고,[3] 클레오메네스는 그 후 516년경 사이에 왕위에 올랐다.[4] 도리에우스는 스파르타인들이 자신보다 이복형제를 더 선호했다는 사실에 분개하여 스파르타에 남아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이후 시칠리아에서 자신의 운명을 찾았는데, 처음에는 성공했지만 결국 죽임을 당했다.[5] 레오니다스와 그의 격렬하게 대립하는 형제들과의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기원전 490년 왕위에 오르기 전에 클레오메네스의 딸 고르고와 결혼했다.[6]

레오니다스는 아기아드 왕조의 왕위 계승자(클레오메네스 1세의 후계자)였으며, 세페이아 전투 (기원전 494년경) 당시 완전한 시민(''호모이오이'')이었다.[7] 그는 페르시아인들이 스파르타에게 항복을 요구하고 기원전 492/491년에 격렬한 거부를 당했을 때도 완전한 시민이었다. 그의 이복 형이자 왕인 클레오메네스는 정신 이상을 이유로 이미 폐위되었고, 그리스에 대한 1차 페르시아 원정이 마라톤 전투에서 끝났을 때 (기원전 490년) 아테네가 원조를 요청했을 때 망명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어떤 사람이 그에게 '왕인 것을 제외하면 당신은 우리보다 전혀 우월하지 않다'라고 말하자, 아낙산드리다스의 아들이자 클레오메네스의 형제인 레오니다스는 '그러나 내가 당신보다 낫지 않다면, 나는 왕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8]라고 기록했다.

3. 테르모필레 전투

다비드 (1814)]]

하지만, 그리스인 배신자 에피알테스가 페르시아 군에게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샛길을 알려주면서 상황이 불리해졌다. 레오니다스는 페르시아 정예부대의 우회 공격에 대비하여 다른 그리스 병력과 노예병들을 남쪽으로 후퇴시켰다. 그는 스파르타 병사 300명, 테베군 400명, 테스피아인 700명과 함께 남아 장렬히 전사했다.[15][16]

레오니다스가 이끈 테르모필레 전투는 수많은 유럽 영웅 이야기의 모범이 되었고, 스파르타의 용맹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3. 1. 배경

레오니다스는 스파르타의 왕 아낙산드리데스의 아들이자, 선왕 클레오메네스 1세의 이복 동생이다. 레오니다스는 셋째 아들이었기에 왕위 계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하지만 두 형인 클레오메네스 1세와 도리에우스가 연이어 사망하면서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28] 아낙산드리데스는 기원전 520년에 사망했고,[29] 클레오메네스는 기원전 516년까지 왕위를 계승했다.[30] 도리에우스는 스파르타인들이 이복형을 선호하는 것에 분개하여 스파르타를 떠나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시칠리아에서 재산을 찾았지만, 처음에는 성공했으나 결국 살해당했다.[31] 레오니다스는 클레오메네스의 외동딸 고르고와 결혼하여 왕위를 계승했다.[6]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레오니다스는 경쟁적인 스파르타 훈련과 사회 환경에서 자신을 증명했기에 통치 자격을 갖추었다고 한다. 그는 "왕인 것을 제외하면 당신은 우리보다 전혀 우월하지 않다"라는 말에 "그러나 내가 당신보다 낫지 않다면, 나는 왕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8]

레오니다스는 기원전 481년에 그리스에 대한 2차 페르시아 원정에 저항하기 위해 연합 그리스 군대를 이끌도록 선택되었다.[9]

3. 2. 전투 과정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가 직접 대군을 이끌고 그리스 본토를 침공하자 레오니다스는 뒤를 이을 아들이 있는 300명의 최정예 스파르타 병사를 이끌고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방어전을 폈다.[9]

그는 다른 그리스 연합군 7,000여 명과 함께 페르시아의 대군을 맞아 2일 동안 페르시아 군에게 엄청난 손실을 주면서 방어했으나, 말리에스 출신의 그리스인 배신자 에피알테스가 페르시아에게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샛길을 알려주었다.[15][16] 이를 우회한 페르시아 정예부대에 맞서 다른 그리스와 노예병들을 모두 남쪽으로 후퇴시키고, 자신과 스파르타의 300명의 용사, 테베군 400명, 테스피아인 700명 만 남아 장렬히 전사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스파르타가 자체적으로 기여한 병력은 300명의 스파르티아테스(그들의 시종과 페리오이코이의 보조병이 동반)였으며, 테르모필레 협곡의 방어를 위해 모인 총 병력은 4,000명에서 7,000명 사이의 그리스인이었다. 이들은 크세르크세스 1세 휘하의 페르시아 군대에 맞섰는데, 페르시아 군대는 그리스 북부에서 침략해 왔다. 헤로도토스는 이 군대가 2백만 명이 넘는다고 주장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를 과장으로 간주하여 70,000명에서 300,000명 사이로 추정한다.[13]

아케메네스 왕이 그리스 호플리테스를 죽이는 모습. 기원전 500년–475년경, 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인들이 흩어지기를 바라며 공격을 4일 동안 기다렸다. 마침내 5일째 되는 날 페르시아인들이 공격했다. 레오니다스와 그리스인들은 5일과 6일 동안 페르시아의 정면 공격을 격퇴했으며, 약 10,000명의 적군을 죽였다. 그리스인들에게 "불멸자"로 알려진 페르시아 정예 부대는 저지되었고, 크세르크세스의 형제 두 명(아브로코메스, 히페란테스)이 전투에서 사망했다.[14] 7일째(8월 11일) 에피알테스는 페르시아 장군 히다르네스를 산길로 이끌어 그리스군의 배후로 향하게 했다.[15][16] 그 시점에서 레오니다스는 대부분의 그리스 군대를 보내고 300명의 스파르타인, 900명의 헤일로타이, 400명의 테베인과 700명의 테스피아인과 함께 협곡에 남았다. 테스피아인들은 레오니다스와 그의 추종자들을 버리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자발적으로 남았다. 그들의 지도자는 데모필로스였으며, 헤로도토스는 "따라서 그들은 스파르타인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과 함께 죽었다."라고 기록한다.

양쪽에서 공격을 받은 소규모 그리스 병력 중 400명의 테베인을 제외하고 모두 사망했으며, 테베인들은 싸움 없이 크세르크세스에게 항복했다. 레오니다스가 죽었을 때, 스파르타인들은 페르시아군을 네 번이나 격퇴한 후 그의 시신을 수습했다. 헤로도토스는 크세르크세스의 명령이 레오니다스의 머리를 잘라 말뚝에 꽂고 그의 시신을 십자가에 매달아 처형하는 것이었다고 말한다. 이것은 신성모독으로 여겨졌다.[17]

3. 3. 최후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가 직접 대군을 이끌고 그리스 본토를 침공하자 레오니다스는 뒤를 이을 아들이 있는 300명의 최정예 스파르타 병사를 이끌고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방어전을 펼쳤다.[9] 그는 다른 그리스 연합군 7,000여 명과 함께 페르시아의 대군을 맞아 2일 동안 페르시아 군에게 엄청난 손실을 주면서 방어했다. 그러나 그리스인 배신자 에피알테스가 페르시아에게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샛길을 알려주었고, 이를 우회한 페르시아 정예부대에 맞서 다른 그리스와 노예병들을 모두 남쪽으로 후퇴시키고 자신과 스파르타의 300명의 용사만 남아 장렬히 전사했다.[15][16]

그리스 연합군이 페르시아의 침략으로부터 그리스를 방어하는 것을 돕기 위한 요청을 받자, 스파르타는 델포이신탁에게 자문을 구했다. 신탁은 다음과 같은 예언을 했다.

기원전 480년 8월, 레오니다스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군대를 테르모필레에서 만나기 위해 1,200명의 소규모 병력(900명의 헤일로타이와 300명의 스파르타 호플리테스)을 이끌고 스파르타를 떠났다. 그는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온 병력과 합류하여 그의 지휘 하에 7,000명의 군대를 구성했다.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인들이 흩어지기를 바라며 공격을 4일 동안 기다렸다. 마침내 5일째 되는 날 페르시아인들이 공격했다. 레오니다스와 그리스인들은 5일과 6일 동안 페르시아의 정면 공격을 격퇴했으며, 약 10,000명의 적군을 죽였다. 그리스인들에게 "불멸자"로 알려진 페르시아 정예 부대는 저지되었고, 크세르크세스의 형제 두 명이 전투에서 사망했다.[14] 7일째(8월 11일) 말리에스 출신의 배신자 에피알테스는 페르시아 장군 히다르네스를 산길로 이끌어 그리스군의 배후로 향하게 했다.[15][16] 그 시점에서 레오니다스는 대부분의 그리스 군대를 보내고 300명의 스파르타인, 900명의 헤일로타이, 400명의 테베인과 700명의 테스피아인과 함께 협곡에 남았다.

양쪽에서 공격을 받은 소규모 그리스 병력 중 400명의 테베인을 제외하고 모두 사망했으며, 테베인들은 싸움 없이 크세르크세스에게 항복했다. 레오니다스가 죽었을 때, 스파르타인들은 페르시아군을 네 번이나 격퇴한 후 그의 시신을 수습했다. 헤로도토스는 크세르크세스의 명령이 레오니다스의 머리를 잘라 말뚝에 꽂고 그의 시신을 십자가에 매달아 처형하는 것이었다고 말한다. 이것은 신성모독으로 여겨졌다.[17]

페르시아 전쟁을 앞두고 델포이에서 신탁을 구한 결과 "왕이 죽거나, 나라가 멸망할 것이다"라는 예언을 받았다. 이에 레오니다스는 결의를 다지고 다른 도시에서 온 병사들을 돌려보낸 후, 소수의 군사로 페르시아의 대군에 맞섰다고 헤로도토스는 기록하고 있다. 더욱이 이때 스파르타에서는 카르네이아 축제, 올림피아에서는 올림피아 축제가 열리는 해였기에 충분한 군사를 파견할 수 없었고, 레오니다스는 친위대 300명만을 이끌고 출진했다. 기원전 480년 테르모필레 전투에 임하기 전, 죽음을 각오한 그는 출진 직전에 아내에게 "훌륭한 남편과 결혼하여 훌륭한 아이들을 낳으시오"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테르모필레에서 스파르타의 중장 보병 300명을 포함한 그리스 연합군 7,000명을 이끌고 싸웠다. 스파르타의 팔랑크스는 무적이었고, 크세르크세스 1세는 좁은 지형 때문에 기병을 전개할 수도 없었으며, 자군보다 훨씬 적은 수의 그리스 연합군에게 고전을 면치 못했다. 정면으로 그리스 연합군을 돌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무렵, 배신자가 페르시아 측에 그리스 군의 뒤를 돌아가는 뒷길을 알려주었고, 크세르크세스 1세는 그리스 연합군을 배후에서 공격하기 위해 우회 부대를 뒷길로 진군시켰다. 이를 알게 된 그리스 연합군은 철수를 결정했지만, 스파르타 군은 그 자리에 남았다. 이때, 후위로서 끝까지 남았다는 설도 있고, 스파르타의 규율 "절대 철수하지 않는다"를 준수했다는 설도 있다. 스파르타 군 외에도, 테베 군, 테스피아이 군도 남았다.

다음 날 아침, 우회 부대는 그리스 군의 배후에 도착했다. 크세르크세스는 스파르타 군에게 항복을 권고했지만, 레오니다스의 대답은 "Μολών λαβέ|모론 라베el" (와서 가져가라)였다.

레오니다스는 스파르타 군, 테스피아이 군, 테베 군을 이끌고 싸웠다. 이번에는 좁은 길목이 아닌, 테르모필레의 광장까지 진격했다. 광장에서도 스파르타 군은 강력한 페르시아 군을 밀어냈다. 공방전 중에 레오니다스가 쓰러지자, 그리스 군과 페르시아 군은 그의 시신을 두고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그리스 군은 왕의 시신을 회수하고 적군을 격퇴하는 데 네 번이나 성공했다. 그러나 배후에서 우회 부대가 진군해오자 그리스 군은 다시 좁은 길목으로 후퇴하여 그 앞에 있는 작은 언덕에 진지를 구축했다. 그들은 사방에서 쇄도하는 페르시아 군에 끝까지 저항하며, 창이 부러지면 칼로, 칼이 부러지면 맨손이나 이빨로 싸웠다. 페르시아 병사들은 스파르타 병사들을 두려워하여 육탄전을 거부하기 시작했고, 결국 원거리에서 날아오는 화살 세례에 스파르타 군은 쓰러졌으며, 테베 병사를 제외하고 전멸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 날 하루 동안 페르시아 군의 전사자 수는 2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전투 후, 크세르크세스는 부하에게 레오니다스의 시신에서 머리를 베어 매달도록 명령했다.

4. 유산

다비드 (1814)]]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가 직접 대군을 이끌고 그리스 본토를 침공할 때, 레오니다스는 300명의 최정예 스파르타 병사를 이끌고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방어전을 펼쳤다. 이 전투에서 레오니다스 1세와 스파르타군은 장렬히 전사하였으나, 이들의 용맹함은 후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8]

레오니다스의 영웅적인 죽음은 그의 명성을 그리스 전역에 떨치게 했다. 아테네는 시간을 벌었고,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해군에게 승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레오니다스는 고대 그리스를 대표하는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지금도 테르모필레에는 레오니다스 상이 있으며, 레오니다스와 300명의 스파르타 병사들을 기리는 비석에는 "여행자여, 가서 라케다이몬의 사람들에게 전해주오. 우리들은 그들의 말에 따라 여기에 잠들었노라" (라케다이몬은 스파르타를 의미한다)라고 헤로도토스는 기록했다.

안토니누스 왕조 시대(서기 2세기)까지 스파르타에서는 레오니다스를 기리는 영웅 숭배가 존속되었다.[18] 레오니다이아(λεωνιδεῖα)는 레오니다스를 기리기 위해 스파르타에서 매년 거행된 의식이었으며, 스파르타인만 참여할 수 있었다. 이 경기는 스파르타 극장 맞은편에서 열렸으며, 그곳에는 파우사니아스와 레오니다스의 두 개의 묘비가 있었다.[19]

레오니다스는 사후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스파르타 왕족인 파우사니아스는 "레오니다스의 원수를 갚아라"라는 신탁을 받고, 레오니다스의 복수를 위해 페르시아 전군과 싸울 결심을 굳혔다.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스파르타군은 페르시아군을 격파하여 페르시아 제국의 야망을 꺾었다. 이 전투로 그리스는 침략의 위협에서 벗어났고, 페르시아 제국은 그리스 정복을 포기했다.

5. 대중문화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가 그리스 본토를 침공했을 때, 레오니다스 1세는 300명의 스파르타 정예 병사를 이끌고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했다. 이 이야기는 유럽 문화권에서 영웅 이야기의 모범이 되었고, 스파르타의 용맹성을 널리 알렸다.

1955년 테르모필레에 청동 레오니다스 동상이 세워졌다.[20] 동상 아래에는 "ΜΟΛΩΝ ΛΑΒΕ" ("와서 가져가라")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크세르크세스가 스파르타인에게 무기를 포기하면 목숨을 살려주겠다고 제안했을 때 레오니다스가 간결하게 답변한 것이다.[21] 1969년에는 스파르타에도 ΜΟΛΩΝ ΛΑΒΕ라는 비문과 함께 또 다른 동상이 세워졌다.[22]

테르모필레에 있는 레오니다스 동상


스파르타에 있는 레오니다스 동상


레오니다스는 리처드 글로버가 1737년에 쓴 서사시의 제목이기도 하다. 이 시는 이후 4번의 판으로 출판되며 9권에서 12권으로 확장되었다.[23] 그는 스티븐 프레스필드의 소설 ''게이츠 오브 파이어''의 핵심 인물이자,[24] 프랭크 밀러의 1998년 코믹스 시리즈 ''300''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25]

레오니다스는 여러 영화에서 다뤄졌는데, 다음 배우들이 그를 연기했다.

배우영화연도
리처드 이건300 스파르탄1962년[26]
제라드 버틀러
(타일러 나이젤이 어린 레오니다스 역)
3002006년[27]
숀 매과이어스파르탄 3002008년



소년 시절에 영화 《스파르타 총공격》을 보고 영감을 받은 프랭크 밀러그래픽 노블300》을 1998년에 출판하여 아이즈너상을 수상했다. 이를 바탕으로 잭 스나이더 감독이 영화화한 《300》이 2007년에 공개되어 세계적인 흥행작이 되었다. 2014년에는 테르모필레 전투의 후일담으로, 살라미스 해전을 주제로 한 《300: 제국의 부활》이 공개되어 흥행했다.

6. 평가

다비드 (1814)]]

레오니다스는 다른 그리스 연합군과 함께 페르시아 군에 큰 피해를 주며 방어했지만, 그리스인 배신자 에피알테스가 페르시아 군에게 우회로를 알려주면서 위기를 맞았다. 레오니다스는 다른 그리스 병사들을 후퇴시키고,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과 함께 남아 전사했다.

레오니다스의 영웅적인 죽음은 그리스 전역에 그의 명성을 떨치게 했다. 이들의 분전 덕분에 아테네는 시간을 벌어 살라미스 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고, 레오니다스는 고대 그리스를 대표하는 영웅으로 칭송받게 되었다. 현재 테르모필레에는 레오니다스 상과 300명의 스파르타 병사들을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레오니다스는 사후에도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스파르타 군이 페르시아 군을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스파르타 왕족 파우사니아스는 "레오니다스의 원수를 갚아라"라는 신탁을 받고 페르시아와의 전투를 결심, 스파르타 중장보병을 이끌고 페르시아 군을 격파하여 그리스를 침략 위협에서 벗어나게 했다.

참조

[1] 문서 5.39–41 https://www.perseus.[...]
[2] 간행물 Names, Personal, Classical Greece Wiley's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2013
[3] 문서
[4] 서적 A History of Sparta 950–192 B.C. W. W. Norton & Company
[5] 문서 5.42–48 https://www.perseus.[...]
[6] 서적 The Spartans: The World of the Warrior-Heroes of Ancient Greece Vintage Books
[7] 서적 Who's Who in the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8] 문서 Sayings of Spartans, Leonidas son of Anaxandridas, #1
[9] 서적 A Histor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Alexander the Great Longmans, Green, and Company
[10] 문서 David and Literature
[11] 문서 7.220 https://www.perseus.[...]
[12] 문서 7:206 https://www.perseus.[...]
[13] 서적 The Greek and Persian Wars 499–386 BC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4]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http://www.shsu.edu/[...] D. Appleman and Company 2010-03-21
[15] 문서 Leonidas
[16] 서적 The Histories of Herodotus https://books.google[...] D. Appleton and Company
[17] 문서 7.238 https://www.perseus.[...]
[18] 문서 Encyclopaedia of Religion and Ethics
[19]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LA´BARUM, LEONIDEIA, LEONIDEIA https://www.perseus.[...]
[20] 서적 Southern Europ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22] 웹사이트 The unveiling of the statue of Leonidas in 1970 in Sparta 2023-05-30
[23] 서적 David Mallet, Anglo-Scot: Poetry, Patronage, and Politics in the Age of Union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24] 서적 Gates of Fir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5] 서적 Masculinity and Monstrosity in Contemporary Hollywood Fil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6] 서적 Ancient Greek Women in Film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
[27] 서적 Western Civilization: Volume A: To 150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8] 문서
[29] 서적 A History of Sparta 950–192 B.C. W. W. Norton & Company
[30] 문서 5.42–48 http://www.perseus.t[...]
[31] 서적 The Spartans: The World of the Warrior-Heroes of Ancient Greece Vintage Books
[32] 웹사이트 (2782) Leonidas = 1969 UO2 = 1973 QW1 = 2605 P-L = PLS2605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